◆ 대통령실
- 윤 대통령 "기업과 원팀 돼 기업의 해외 진출·수출 적극 뒷받침"… 2년 연속 '대한민국 중소기업인대회' 참석
◆ 고용노동부
- 이정식 장관 "노동시장 이중구조, 지속 가능성 저해·미래 일자리 위협·청년 희망 박탈"…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대책, 내달 발표 예정
- 취업자 1000명 설문 조사… 직장인 88.3%. 회계 공시 노동조합만 조합비 세액공제 혜택 찬성
◆ 과학기술정보통신부
-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오늘 오후 6시24분께 3차 발사 예정… 실용위성 8기 싣고 첫 상용 발사, 이륙 후 19분 내 비행 종료
- 전 세계 약 820개 이통사 및 제조사 참여 이동통신 표준화 기관 3GPP 산하 무선접속망 1작업반(RAN1) 의장으로 김윤선 마스터 재선출… 한국의 5G 인프라 확대 노력 인정
- '2023년 정보통신기술 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' 개최… 내달 26일까지 접수, 총상금 5000만원 및 상용화 지원
◆ 교육부
- 대학 일반학과 '계약정원제'로 첨단분야 인재 양성… '계약학과' 규제 완화
◆ 국방부
- 입영 신체검사에 마약검사 추가… 군, 마약관리 체계 대폭 변경
◆ 국토교통부
- 인공지능(AI) 활용해 이상거래 탐지… '이상거래 선별 고도화' 연구용역 착수
- 전국 15개 지자체 개인택시 부제 재도입… 서울시는 빠져
- 부산 벡스코서 '탄소중립도시 국제 콘퍼런스' 26일 개최
◆ 기획재정부
- 18개 기금 60개 사업에 구조조정 및 제도 개선 필요… '2023년 기금평가 결과' 국무회의 보고
◆ 농림축산식품부
- 정부양곡 14만t 주정용·사료용 특별처분… 과잉 생산된 쌀 재고 소진
- 소·돼지 등 1060만마리에 구제역 백신 접종 완료… 전국 우제류 농장 방역 실태 점검
◆ 문화체육관광부
- 한국방문의 해 맞아 '2023 챌린지 코리아 콘텐츠 어워즈' 첫 개최… 대한민국의 멋·대한민국의 맛·대한민국의 밈 세 가지 분야로 개최
- '2023년 방송영상콘텐츠 후반작업 지원사업'으로 드라마·예능·다큐멘터리 등 34개 작품에 245억원 투입… 작품당 최대 10억원 지원
◆ 보건복지부
- 유럽연합(EU) 보건비상대응기구와 미래 위기대비 행정약정 체결… 병원체 추적, 백신·치료제 연구 등 맞손
- 사회서비스 표준모델 개발 기관 3개소 선정… 각 기관에 100만원씩 서비스 표준모델 개발비용
- 보건복지부 "식욕억제제 처방 '성지' 의료기관 5곳 모두 과다처방 확인"… 지방자치단체와 합동점검 결과 발표
◆ 산업통상자원부
- 대한민국 디자인 도약 위한 정책방안 논의 'K-디자인 점프업 포럼' 발족… 디지털·지속가능 디자인, 디자인 기업·인력 등 4개 분과로 구성
- 미래차 시대 대비 소프트웨어·전장 등 전기차 부품산업에 14조3000억원 지원… 2030년까지 미래차 인력 3만명 양성, 전기차 충전기 123만기 설치 등
◆ 외교부
- 외교부 "중국서 한국 포털사이트 네이버 접속 차단 보도… 유관 기관과 함께 확인 중"
◆ 중소벤처기업부
- 로봇 분야 산업동향 점검, 조주현 차관 "로봇 유니콘으로 육성할 것"… 로봇 분야 스타트업과 간담회 개최
-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위해 4조8194억원 지원… 중앙행정기관 17곳·공공기관 24곳 참여
◆ 통일부
- 통일교육주간 맞아 '자유민주주의 통일교육' 주제 학술회의 오늘 개최
◆ 해양수산부
- 해양수산부-KB 국민은행, 맑은 바다 만들기 위한 업무협약 체결… 바다숲 조성 등 해양생태계 보전 위한 활동 추진
- 해양수산부-극지연구소, 남극서 꽃 피우는 식물(현화식물), 곰팡이 감염돼 병든 것 세계 최초 확인… 기후변화로 남극 따뜻해지면서 곰팡이 활성화 추정
◆ 행정안전부
- 기업(생업) 경영여건 개선·주민 편익 증진 등 '올해 1분기 그림자·행태 규제개선 적극행정 우수사례' 8건 선정
- 지자체 건전한 재정관리 위해 우발채무 선제적 관리방안 발표… 보증채무부담행위 2가지, 예산 외 의무부담 4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해 관리
- 한국코카콜라-매일유업 등 '올해 상반기 내 투명페트병 재생원료 사용 제품 출시' 업무협약… 재생원료 사용 비율 10%인 투명페트병 식음료 제품 등 재생원료 품목 늘릴 계획
- ‘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이차보전 지원사업’ 참여한 23개 기업과 녹색채권 활성화 업무 협약 체결… 참여기업 재생에너지 등 녹색분류체계 적합 사업 적극 발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