◆ 대통령실
- 윤 대통령-빈살만, 43년만의 공동성명 "수소경제 등 상호투자 적극 확대"… 역대 두번째 성명
- 대통령실 "'이스라엘-팔레스타인 사태' 공동성명 포함 이례적… 글로벌 중추국 한국 위상"
- 윤 대통령, 카타르 1박2일 국빈방문 시작… 오늘 카타르 국왕 정상회담·국빈 오찬
◆ 고용노동부
- 한국노총에 이어 민주노총도 회계공시 수용
◆ 과학기술정보통신부
- 민관 합동으로 휴대전화 명의·번호도용 차단 개선책 마련... '패스' 앱 통해 가입사실조회 및 가입제한 서비스 제공
- 제9차 한국-베트남 장관급 과학기술공동위원회 열어 양국 간 과학협력 본격화... 디지털 전환·재생에너지 협력 논의
- 윤 대통령, 사우디아라비아 왕립과학기술원(KACST)에서 개최한 '한-사우디 미래기술 파트너십 포럼' 참석... 디지털·우주 등 4대 미래기술 협력 강화
◆ 교육부
- 교육부-과학기술정보통신부, 국산 클라우드·반도체로 AI(인공지능)교과서 기반 닦는다... '디지털 교육혁신·K-클라우드 상생' 위한 업무협약
◆ 국가보훈부
- 홍범도 장군 순국 80주기 추모식 오늘 국립대전현충원서 개최… 박민식 장관, 우원식 기념사업회 이사장 등 100여명 참석
◆ 국방부
- 신원식 장관, 주한 미국 대사 접견 "연합방위태세 확립 필요"
◆ 국토교통부
- 한국·사우디 건설협력 50주년 기념식… 국토교통부 “양국 협력 미래 비전 공유”
- GTX-A·서울 버스-지하철 환승 가능… 수도권 통합환승 할인제 적용
- 인천~서울 광역급행 M버스 4개 노선 신설… 내년 상반기부터 운행
◆ 기획재정부
- 김병환 1차관 "김장채소 납품 비용 지원 계획"... 농축산물 수급·가격 동향 점검
- '원스톱 수출 119' 개최하고 중소기업 애로사항 청취... 김병환 1차관 "중소 수출 기업 해외시장개척, 마케팅 지원 더욱 강화"
◆ 농림축산식품부
- 국제 설탕 원재료 가격, 지난해 대비 48% 상승... 할당관세 적용 연장 검토
- 계란 소비자가격 상승세... 농림축산식품부, 관련 업계에 공급확대 주문
- 농업 분야 공적개발원조(ODA)사업 체계적 수행 위한 '해외농업·산림자원 개발협력법' 개정안 공포
◆ 문화체육관광부
- 국내 최초 장애예술인 표준공연장 '모두예술극장' 개관… 유인촌 장관 "문화 예술 공간 접근성 수준 높아지도록 적극 지원할 것"
- 아시아 최대 광고 마케팅 축제 '애드아시아', 16년만에 한국서 개최… AI(인공지능)·메타버스 시대의 새로운 광고산업 동향 조망
- 올해 마지막 '숙박세일 페스타' 개최, 할인권 32만 장 모두 배포… 할인권 발급·예약·숙박시설 이용 기간 27일부터 내달 24일까지
◆ 보건복지부
-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태어난 미등록 아동 9603명도 전수조사... 12월까지 지자체 조사, 필요시 수사의뢰
- 7개 중앙행정기관과 ‘장애인학대보도 권고기준’ 수립 추진... '장애인복지법 시행령 개정안' 국무회의서 의결
◆ 산업통상자원부
- 미국·유럽연합 주요 통상 현안에 대한 성과 점검 '2023년 통상현안세미나' 개최
◆ 외교부
- 외교부 "탈북민 강제 북송 반대‥. 관련국과 외교로 협력"
- 중국-필리핀 선박 충돌 발생... 외교부 "남중국해서 긴장 고조시키고 선원 안전 위협하는 일방적 행동 우려"
◆ 중소벤처기업부
- 사우디 진출 벤처·스타트업 출정식 개최... 양국 간 협력 강화
- 베트남 하노이서 ‘케이(K) 스타트업 센터 하노이 개소식’ 개최... ‘한·베트남 스타트업 지원 협의체’ 구성
- 고위험‧고성과 R&D(연구개발) 프로젝트 3개 과제 확정... 이차전지용 3중 열관리 소재 개발 등에 최대 100억 지원
◆ 통일부
- '유엔사'와 협력방안 첫 연구… 통일부 "한반도 평화유지 핵심 축"
◆ 해양수산부
- 남극과학기지 월동연구대 발대식 개최... 내년 12월까지 극한 환경 연구
◆ 행정안전부
- 화재 대비 대응 역량강화 위해 11월1일 오후 2시부터 20분간 민방위 훈련 실시... 공공기관·학교·다중이용시설 중심
- '지방보조금 부정수급 관리단' 신설·운영... 부정수급 모니터링 및 현장점검 등 수행
- 국가산단 용수공급 위해 발전용댐 다목적 활용 협약 체결... 한강수계 안정적 용수공급 및 홍수조절 능력 확대 기대